통일한국/영화로 읽는 통일코리아 썸네일형 리스트형 대륙으로 가는 길 오늘 영화는 장동건, 장동건, 장동건 일본의 철도 전략 만철의 역사를 알아야 오늘 강의를 할 수 있다. 마이웨이 - 한반도에서 유럽까지 한반도 - 한번도 우리는 이 땅의 주인인 적이 없었다 아나키스트 - 그들이 꿈꾸었던 세상 더보기 이름도 존재도 없었던 그들의 절규 - 영화 <실미도>(2003) 데탕트시대의 얼어붙은 한반도 사람들은 1960년대 후반 ~ 70년대 중반의 시기를 가리켜 동서데탕트의 시대라 말한다. 데탕트 détente 는 프랑스어로 완화·휴식을 뜻한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중심의 자본주의 진영과 소련 중심의 사회주의 진영을 양극으로 하는 냉전체제가 수립되었으나 1960년대 말부터 변모의 조짐이 생겨났다. 서독과 일본의 급성장, 중국과 소련의분쟁 등으로 국제정치는 이데올로기보다 국가이익을 우선하게 되었다. 1967년 6월 미국은 ‘닉슨독트린’을 발표하고 긴장완화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1972년 대통령 닉슨이 소련 모스크바와 중국 베이징을 방문함으로써 미 ·소 간의 데탕트가 실현되었다. 국제사회에서는 동서의 긴장완화가 진행되고 있었지만 한반도의 남북관계는 한국전쟁 이후 여전히 .. 더보기 0.75평 안의 자유 - 영화 <선택> 영화 비전향장기수란 국가보안법·반공법·사회안전법으로 인해 7년 이상의 형을 복역하면서도 사상을 전향하지 않은 장기수를 말한다. 이들은 해방 이후와 6·25전쟁 당시의 빨치산 및 인민군 포로, 6·25전쟁 이후 북에서 남파된 정치공작원, 통혁당사건 등 남한에서의 자생적 반체제 운동가 출신, 1970년대 이후 해외활동으로 체포된 재일동포, 1970년대 중반 이후 각종 간첩단 사건으로 연루된 인사 등으로 분류된다. 비전향 장기수 이인모씨가 북송되고 7년뒤인 2000년 9월 남북정상회담 직후 남북의 합의에 따라 비전향 장기수 63명을 판문점을 통해 북송했다. 이들은 빨치산 출신 13명, 간첩 출신 46명, 인민군 출신 4명으로 70% 이상이 남파간첩이었다. 홍기선 감독은 1980년대 말에 신문에 비전향 장기수 .. 더보기 영화 <크로싱>(2008) - 살기 위해 헤어지다 북한의 ‘우리식 사회주의’ 1980년대 말 사회주의권이 몰락하면서 북한은 국제 사회에서 외톨이 신세가 된다. 사회주의권이 붕괴되기 전 북한은 소련 등으로부터 국제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에 석유를 비롯한 에너지와 원자재를 수입할 수 있었다. 하지만 사회주의 진영이 사라지만서 ‘사회주의 우호 가격’이라는 그들만의 시장 거래가 사라지고, 구 사회주의권 나라들도 자본주의 질서 하에 국가 시장가격에 따라 원자재와 물품을 거래하게 된다. 사회주의 우호 가격 시스템의 붕괴는 북한 경제를 회생 불능의 상태로 빠져 들게 했다. 고난의 행군시기로 알려진 1990년대 중반 북한 공장의 평균 가동률은 20%에도 미치지 못했다. 원자재의 공급이 어려워지면서 발생한 생산의 부진은 다시 외화를 획득할 수 있는 수출상품의 생산 부족으.. 더보기 영화 <흑수선> (2001) - 최후의 증인 영화 은 반세기동안 자신의 의도와는 다른 삶은 살아야 했던 사람들의 비극적인 운명에 관한 이야기다. 영화는 서울 한강에 한 노인의 시체가 떠오르며 시작된다. 그 시체는 1952년 당시 탈출 포로 검거 일을 했던 양달수(이기영)였다. 이 살인사건을 맡은 오병호 형사(이정재)가 손에 쥔 단서는 현장에서 발견된 금속안경, 명함 조각, 그리고 양달수의 방에서 발견된 두 장의 사진이다. 오형사는 사진의 장소인 거제 옥천초등학교를 찾았고 거기에서 오래된 손지혜(이미연)의 일기장을 발견하게 되고, 거제포로수용소를 둘러싼 비밀을 알게 된다. 한국전쟁당시 탈출포로 검거일을 했던 양달수는 남로당원 손지혜를 데리고, 어느날, 거제도에서 사라진다. 그리고, 손지혜를 사랑하던 황석(안성기)이 비전향 장기수로 형을 살다가 최근에.. 더보기 영화 <작은연못> (2010) - 숨겨졌던 노근리 주민들의 비극 노근리 사건과 영화 1999년 9월 미국 AP통신은 1950년 7월 미군이 충북 영동군 노근리에서 발견되는 민간인을 적으로 간주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며, 이 명령에 따라 300여명을 학살한 학살 사건이 발생했다고 보도하였다. 일명 노근리 사건이다. 노근리 사건은 1960년 민주당 장면 정권 당시 미군에 이를 소청한 적도 있고 1994년 이 사건을 주제로한 소설이 출간되고 한겨레신문등에서도 보도를 했지만 아는 사람들만 알았을 뿐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가 1999년 AP통신을 계기로 세계적으로 주목 받는 이슈가 되었다. 이후 한미양국은 공동조사를 통해 노근리 사건이 미군에 의한 양민학살 사건임을 공식발표하였다. 그후 노근리 사건은 이상우 감독에서 영화 으로 제작된다. 영화는 한 여름 마을의 평화로운 풍경에서.. 더보기 영화 <웰컴투동막골> (2005) - 1950년 지금은 전쟁중? 공감의 시대 1차 세계대전 한 창이던 1914년 12월 24일 벨기에 이프르 지역. 독일군과 영국군이 대치한 병영은 한마디로 참혹했다. 매서운 추위와 쥐떼가 득실대고 오물로 범벅이 된 참호에서 썩어가는 시체와 함께 선 채로 잠든 병사들. 이 극한의 상황 속에서 땅거미가 질 무렵 놀라운 일이 벌어졌다. 독일군 병사들이 크리스마스 트리에 불을 밝히며 캐럴을 부르기 시작했다. 바로 건너편의 영국군은 넋을 잃고 이를 바라보다 박수를 치며 캐럴로 화답했다. 마음이 통한 이들 병사들은 참호에서 나와 서로를 향해 걷기 시작 했다. 얼굴을 맞댄 이들을 악수를 나누고 담배와 과자를 건넸으며 고향과 가족을 이야기하며 평화로웠던 크리스마스의 추억을 떠올렸다. 그리고 정치인들이 벌여 놓은 황당한 전쟁에 대한 씁쓸함을 잠시나마.. 더보기 영화 <마이웨이> (2011) - 적으로 만나 서로에게 희망이 된 그들 강제규 감독의 영화 는 20세기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전혀 생각지도, 의도하지도 않은 길을 가야했던 두 청년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조선과 일본의 두 청년은 2차 세계대전의 거대한 소용돌이 속에서 일본군과 소련군, 독일군을 거쳐 노르망디에 이르게 된다. 한반도와 시베리아를 거쳐 프랑스 노르망디까지의 12,000km의 끝나지 않는 전쟁을 겪으며 서로에 대한 분노와 불신이 결국에는 희망으로 변한다. 1938년 조선의 경성에는 달리기를 잘하는 두 소년 김준식(장동건)과 하세가와 타츠오(오다기리 조)이 있었다. 이들은 서로 달리기 하나는 자기가 최고라는 자부심으로 살아간다. 올림픽 출전권이 달린 마라톤 대회에서 조선인 '김준식'은 일본 최고의 선수 '하세가와 타츠오'를 제치고 우승하지만 예기치 못한 사건으로 .. 더보기 영화 <포화속으로>(2010) - 학도병, 그들은 군인인가? 군인이 아닌가? 최후의 보루, 낙동강 전투 1950년 6월 전쟁이 발발하자 남한은 북한 공산군에 밀려 계속 남쪽으로 내려가야 했다. 북한의 남침 1개월이 되는 7월 말. 공산군은 충청도와 전라도을 점령하고 경상도 낙동가 유역까지 들어왔다. 한반도 전체 면적의 90%가 공산군에 점령된 상황에서 하루 빨리 전쟁을 끝내려는 북한 공산군과 북한 공산군을 최대한 저지하며 반격을 노리는 국군과 유엔군은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한치도 물러 설수 없는 대결을 벌인다. 낙동강을 사이에 둔 1개월 반에 걸친 공방전은 결국 북한 공산군의 패배로 끝났고,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 개시와 더불어 국군과 유엔군은 낙동강 방어선에서 총 반격을 한다. 낙동강 전투는 치열했던 만큼 희생 역시 컸다. 하루에도 수천명의 희생자가 나왔고 희생된 인원만큼 새.. 더보기 영화 <태백산맥>(1994)과 <남부군>(1990) 1987년 6월의 뜨거운 외침 1987년 6월 민주항쟁은 한국 사회에 많은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다양한 이야기와 논의를 할 수 있는 합법적 공간이 넓어졌다. 그리고 6월 민주항쟁은 우리에게 한층 진일보된 표현의 자유를 가져다주었다. 그 대표적인 것이 금지된 노래의 ‘해금(解禁)’이다. 1970년대 가수 양희은이 부른 ‘아침이슬’은 1987년 6월 민주항쟁 이전까지만 해도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부를 수 없는 금지곡이었다. 이는 새로운 것을 쟁취한 것이 아니라 우리가 당연히 누려야 할 권리를 회복하기 위한 외침이었다. 아울러 1987년 6월 항쟁을 기점으로 대학생과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해방 이후 빨치산 활동에 대한 각종 문학적 기술(記述)을 읽는 열풍이 일어난다. 프랑스어로 ‘동지’ 또는 ‘당파’라는 뜻의 ‘.. 더보기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