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일한국/영화로 읽는 통일코리아

영화 <웰컴투동막골> (2005) - 1950년 지금은 전쟁중?




공감의 시대


1차 세계대전 한 창이던 1914년 12월 24일 벨기에 이프르 지역. 독일군과 영국군이 대치한 병영은 한마디로 참혹했다. 매서운 추위와 쥐떼가 득실대고 오물로 범벅이 된 참호에서 썩어가는 시체와 함께 선 채로 잠든 병사들. 이 극한의 상황 속에서 땅거미가 질 무렵 놀라운 일이 벌어졌다. 독일군 병사들이 크리스마스 트리에 불을 밝히며 캐럴을 부르기 시작했다. 바로 건너편의 영국군은 넋을 잃고 이를 바라보다 박수를 치며 캐럴로 화답했다. 마음이 통한 이들 병사들은 참호에서 나와 서로를 향해 걷기 시작 했다. 얼굴을 맞댄 이들을 악수를 나누고 담배와 과자를 건넸으며 고향과 가족을 이야기하며 평화로웠던 크리스마스의 추억을 떠올렸다. 그리고 정치인들이 벌여 놓은 황당한 전쟁에 대한 씁쓸함을 잠시나마 웃음으로 넘겨 버렸다.


제레미 리프킨은 저서 <공감의 시대> 첫머리에서 이 꿈 같은 ‘크리스마스의 휴전’을 언급하며 인간 본성에 내재한 ‘공감’의 질서를 찾는다.


“그들은 서로의 고통에 손을 뻗어 위안을 찾았다. 상대에게서 자신의 모습을 발견한 것이다. 개인적인 나약함에 대한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깊은 공감과 아무런 보상도 바라지 않고 오로지 동료 인간과의 유대감에 대한 갈망에서 서로를 위로할 수 있는 힘이 흘러나왔다.”


‘공감의 힘’은 내가 죽이지 아니하면 내가 죽을 수 밖에 없는 치열한 전쟁터에서도 어김 없이 그 위력을 발휘했다. 실제 전장에서도 공감이 힘을 통해 총성을 멈출 진데 상상의 세계인 영화에서도 전쟁을 멈추는 공감의 힘은 얼마든지 나올 수 있다.






영화 <웰컴 투 동막골>


CF제작자 출신인 박광현 감독의 영화 <웰컴 투 동막골>은 외부와 거의 단절된 강원도 오지마을. 주민 수십명이 한 식구처럼 오손도손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동막골에 머물게 된 국군, 인민군, 미군 일행의 갈등과 화해를 그린 전쟁드라마 영화이다. 1950년 겨울, 태백산맥 줄기에 자리 잡은 함백산 속 동막골에 미국 전투기 한 대가 추락한다. 전투기 안에 있던 미군 대위 스미스는 동막골의 순수한 사람들의 보호 아래 치료를 받는다.


“여기에 군대 절대 없어. 총을 보아도 눈 하나 깜짝 안하는것 보아하니 이딴 걸 처음 본거야” (인민군 이수화)


한편, 동막골에 사는 여일(강혜정)은 우연히 동막골 깊은 숲에서 길을 잃은 인민군 리수화(정재영)의 일행과 대면한다. 그리고 그들을 자신의 마을의 촌장 집에 데려온다. 그러나 그때, 병력에서 이탈해 길을 잃은 국군 표현철(신하균)과 그의 일행이 촌장의 집에 머물고 있었다. 그 때문에 인민군 리수화 일행과 국군 표현철 일행이 동막골 촌장 집에서 서로에게 총을 겨누는 대치상황이 벌어진다.


“자 이제 그만하고 뭐를 좀 먹어요” (마을 촌장)


이때 동막골 사람들은 국군과 인민군, 연합군의 대치를 이상하게 여기며 그들이 서로 화해할 수 있게 돕는다. 국군과 인민군은 생전 처음 보는 총과 철모가 신기하기만 한 순진무구한 주민들과 어우러져 생활하면서 서로에 대한 적개심을 녹아버린다. 하는 일 마다 티격태격 하는 국군과 인민군은 어느새 정이 들어버리고 어느 날 나타난 멧돼지의 습격을 함께 해결하고 멧돼지 고기도 같이 먹으면서 동막골이 주는 삶의 여유에 깊이 빠져들게 된다. 이때 인민군 리수화는 궁금해진다. 마을이 이처럼 평화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하며 말이다. 리수화는 마을 촌장에게 묻는다.


리수화 “고함 한 번 지르디 않구 부락민을 휘어잡을 수 있는 비결이 머이여?”


마을촌장 “뭐 많이 먹여야지 뭐.”



한편, 동막골에 추락한 미군기가 적군에게 폭격 됐다고 오인한 국군과 미군은 동막골을 공격하기로 한다. 동막골을 향한 폭격을 준비하는 미군으로부터 동막골과 마을 사람들을 지키기 위해 스미스와 리수화 일행, 그리고 표현철 일행은 서로 합심하여 공동 작전을 펼치며 최후를 맞이한다.





옥수수가 팝콘이 되는 상상력


영화 <웰컴 투 동막골>이 개봉 되었을때 분단 현실을 웃음 거리로 만들었다거나 ‘반미(反美)’ 색채가 짖다는 딱지를 붙이는 이들이 많았다. 전반부의 즐거운 유머와 평화를 향해 가는 분위기는 후반에 이르러 경직되기 시작하여 무리해 보이는 구성이 반미로 해석될 여지도 있다. 추락한 조종사 스미스를 찾아온 미군들의 모습이 부정적으로 그려졌을 뿐 아니라 마을을 지키기 위해 남북한 병사들이 미군에 대항하다는 설정이 기존의 분단 소재 영화에서 볼수 없는 아주 낯선 모습이기도 하다. 하지만 미군 조종사 스미스 대위의 선량함이나 고위 인민군의 ‘6ㆍ25 전쟁은 남침’이라는 단언 등 반미영화라고 단정한 이념적 해석을 부질없게 만들기도 한다.


영화에 등장하는 국군과 인민군은 이념 대립을 상징한다. 좌익과 우익의 구분이 전혀 필요 없는 동막골과 대비된다. 여기에 영화를 관통하는 메시지가 있다. 사람을 위해 이념이 있는 것이지, 이념을 위해 사람이 있는 건 아니라는 것이다. 사실 동막골과 같은 마을은 상상속의 마을이다. 동막골이 상상속의 그것이라는 것은 영화속의 명장면인 옥수수가 팝콘이 되는 장면에서 잘 나타난다. 


인민군과 국군, 연합군이 흘러들고 서로 다른 군복을 입었다는 이유만으로 팽팽한 긴장감 속에 대치되어 총부리를 겨누어야 했다. 그런 그들을 의아하게 바라보던 동막골 사람들. 수류탄 꼭지가 가락지인 줄 알고 뽑아든 여일 때문에 얼결에 날아간 수류탄은 옥수수 창고로 떨어진다. 그 순간 “팡-!” 하고 팝콘들이 날아온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던 그간의 긴장과 불안이 일순간 해소되어 팝콘이 눈이 되어 내리던 장면은 위트가 넘친다. 과학적으로 그리고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수류탄 팝콘은 상상의 샘을 자극하며 관객들의 마음을 사로 잡았다. 영화 <웰컴투 동막골>이 가진 힘과 매력은 바로 여기에 있다. 바로 현실과 전혀 다른 세상을 꿈꾸는 것은 상상력의 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