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본 세상 썸네일형 리스트형 SPSS Output Interpretation 더보기 The Research Onion Model 더보기 self serving bias 자기본위편향 자기 본위 편향은 사람들은 성공에 대한 원인은 내부에 돌리려는 경향이 있고 실패에 대한 원인은 외부에 돌리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편향은 우리 자신은 성공에 대해 자신의 공로는 인정하면서 실패에 대해서는 어떠한 책임도 히피하려는 이유를 설명해준다. 예를 들어테니스선수가 그의 시합에서 이겼을 때 나는 내가 훌륭한 선수이어서 우승했어 라고하는 반면에 진 선수는 심판이 불공평해서 나는 졌어 라고 말한다. 자기 본위 편향은 자존심의 지지로서 간주될지도 모른다. 디른 말로하면 성공에 대해서는 자신의 공으로 돌리고 실패에 대해서는 외부의 탓으로 돌리는 것으로 기분이 나아진다는 것이다. 이것은 자기 위협이 증가할때 사람들이 자기 본위 편향을 내비치는 경향이 높아는지 것을 보여주는연구에 의해서 강화되어진.. 더보기 hostile attribution bias 적대귀인편향 적대적 귀인 편향 이것은 개인이 타인의 모호한 행동을 인자하다기 보다는 적대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는 해석적인 편향으로 정의했다. 예를 들어 한 아이가 두명의 다른 아이들이 속삭이는 것을 목격했다면 그 두명의 아이들이 자신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고 추측하면서 심지어 그 두명의 아이의 행동이 잠재적으로 온화하다 할지라도 아이는 그 두명의 아이가 적대적 의도의 귀인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적대적 귀인 편향과 공격성 간에서 연관성이 있다. 그로인해 누군가의 행동을 적대적으로 해석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공격적으로 행동을 취하는 경향이 또한 높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가 있다. 더보기 Expectancy value theory 기대값 이론 기댓값이론은 원래 대상과 행동에 대한 개인의 태도를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최초 심리학자 마틴 피스바인의 연구로 이론에서는 믿음과 가치에 대한 평가에 근거해서 태도는 발달되어지고 수정되어진다고 말한다. 주요하게 이론은 태도 발달내에서 발생된 정신적 계산을 결정해준다. 기댓값 이론은 다른 이론을 발달하는데 이용되어왔고 아직도 연구의 수많은 분야내에서 오늘날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기댓값은 3가지 기본 요소를 가지고 있다 . 먼저 개인은 어떤 항목이나 행위에 대한 한가지 믿음을 발달시킴으로 그 항목이나 행위에 대한 새로운 정보에 반응한다. 만약에 한 가지 믿음이 벌써 존재하고 있다면 새로운 정보에 의해서 수정될 수도 있고 그럴 가능성이 가장 높다. 두 번째 개인은 어떤 믿음이 기반을 두고 있.. 더보기 구조방정식의 t 검정과 Z 검정의 의미 구조방정식 초기에 t 검정은 원래는 student t 분포를 이용한 t 검정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었다. test value 의 약자이었을 뿐이다. 실제의 검증값으로 이용한 검증통계량은 t 가 아닌 Z 검정이었다. 그러나 구조방정식에서 사용되는 표본크기가 대표본이기 때문에 실제에서 t 검증통계량의 경계값이나 Z 검정 통계량의 경계값 Critical values 이나 별 차이가 없고 출력물에서 test value 를 t value 로 인쇄되는 탓에 Z 검정값이 t 검정값으로 오해되었다. 더보기 Heywood case 1. 구조방정식의 개별모형평가시 추정된 분산이 음수인 경우 2.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상관 또는 공유값 ( communality ) 가 1 인 경우를 Heywood case 라 하며 1보다 큰 것을 Ultra Heywood case 라 한다.[출처] Heywood case|작성자 isabella 더보기 ‘표준편차’를 구하는 방법 ① 하나하나의 데이터에서 평균을 뺍니다. (=편차)② 편차를 제곱합니다. (=편차제곱)③ 모든 편차제곱을 합합니다. (=편차제곱합)④ 편차제곱합을 데이터수로 나눕니다. (=분산)⑤ 분산의 루트(제곱근)을 구합니다. (=표준편차) 더보기 검사특성곡선(檢査特性曲線: test characteristic curve) 능력척도와 진점수 사이의 함수관계를 나타내는 곡선. 같은 능력을 지닌 피험자가 검사를 구성하는 각 문항에 정답할 확률을 합하여 그린 곡선으로, 일반적으로 단조증가함수의 형태를 띤다. 검사특성곡선의 형태는 능력척도 위의 피험자 능력 점수들의 빈도분포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특성을 지닌다. 더보기 검사정보함수(檢査情報函數: test information function) 검사가 측정대상인 피검자의 잠재적 특질을 얼마나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함수. 검사정보함수는 문항반응으로부터 구할 수 있는 최대 정보량을 나타내며, 주어진 능력수준에서의 검사정보는 그 능력수준에서의 문항정보들의 총합이다. 검사정보함수의 수학적 공식은 다음과 같다. I(θ) : 능력수준 θ에서의 검사정보의 양 Ii(θ): 능력수준 θ에서의 문항 i가 가지는 정보의 양 N : 검사를 구성하는 문항수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