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일한국/영화로 읽는 통일코리아

영화 <마이웨이> (2011) - 적으로 만나 서로에게 희망이 된 그들




강제규 감독의 영화 <마이웨이>는 20세기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전혀 생각지도, 의도하지도 않은 길을 가야했던 두 청년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조선과 일본의 두 청년은 2차 세계대전의 거대한 소용돌이 속에서 일본군과 소련군, 독일군을 거쳐 노르망디에 이르게 된다. 한반도와 시베리아를 거쳐 프랑스 노르망디까지의 12,000km의 끝나지 않는 전쟁을 겪으며 서로에 대한 분노와 불신이 결국에는 희망으로 변한다.


1938년 조선의 경성에는 달리기를 잘하는 두 소년 김준식(장동건)과 하세가와 타츠오(오다기리 조)이 있었다. 이들은 서로 달리기 하나는 자기가 최고라는 자부심으로 살아간다. 올림픽 출전권이 달린 마라톤 대회에서 조선인 '김준식'은 일본 최고의 선수 '하세가와 타츠오'를 제치고 우승하지만 예기치 못한 사건으로 친구들과 함께 일본군에 강제 징집된다. 그리고 1년 후 일본군 대위가 된 타츠오는 준식 일행이 있는 부대로 부임한다. 두 사람이 소속된 일본부대는 소련군의 급습으로 패전하여 전부 포로가 된다. 준식과 타츠오는 포로수용소에서 또 한 번 죽음에 직면한다. 여러 번 죽을 고비를 맞는 타츠오를 준식이 구해주며 둘 사이에는 운명적 동지의식이 싹트게 되고, 이후 소련군 신분으로 독·소전이 한창인 '제도프스크 전투'에 참가해 또 한 번 지옥을 함께 경험한다. 생명을 다투는 극한의 상황에서 타츠오와 준식은 서로를 의지하며 버티지만 독일군에 징집돼 노르망디에 배치된다.


얼핏 보면 완벽한 허구 같은 이 이야기는 실화를 바탕으로 했다. 이 영화의 모티브는 연합군이 잡은 포로 사진 한 장에서 시작된다. 노르망디 상륙작전에서 승리한 연합군에 독일군 포로로서 끌려온 동양인의 모습. 일본군에 징집돼 소련군으로 끌려갔다가, 다시 독일군 군복을 입고 2차 세계대전의 격전장 노르망디 전투에 투입돼 잡힌 조선인이었다. 사진에 얽힌 이야기는 2005년 12월 SBS를 통해 '노르망디의 코리안'이라는 2부작 다큐멘터리로 조명됐다. 여기서 영감을 얻은 강제규 감독이 영화화에 나섰다.


영화 <마이웨이>는 우리에게 새로운 시각으로 다가왔다. 영화는 할리우드 전쟁영화에 익숙해진 관객들을 '노르망디의 동양인'이라는 새로운 스토리로 이끈다. 자신의 의지와는 전혀 상관없이 저 멀리 유럽으로 가서 2차 대전의 한복판에 있어야만 했던 조선인의 이야기다. 그리고 같은 시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 <라이언 일병구하기>에서처럼 우리 편(미군)과 나쁜 놈(독일군)이란 고정 관념을 과감히 깨고 적군인 독일 군복을 입을 수밖에 없었던 현실의 문제를 적나라하게 노출한다. 우리가 받아 왔던 교육, 우리가 가지고 있는 상식에서 조선인과 독일군복은 전혀 어울리는 조합이 아니다. 그리고 한국 감독이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반도에서 영화의 스토리를 시작해서 프랑스의 노르망디에서 끝을 맺었다는 것도 놀라운 일이다.


어쩌면 <마이웨이>는 한국말을 쓰며 일본군-소련군-독일군의 군복을 바꿔 입어야 했던 한 조선인을 통해 혼돈의 역사 속에서 힘든 시간을 감내해야만 했던 우리 민족 전체의 아픔을 이야기하고 싶었던 것일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