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이야기

Why Book ? Why Story Coach? 1. 책(冊)의 사전적 의미는 “종이를 여러 장 묶어 맨 물건”이다. 하지만 책은 단순히 종이의 묶음이 아니다. 그 안에 지식이 있고 인생이 있다. 그래서 옛 부터 좋은 책은 사람의 마음에 감동을 불러 일으켰고 심지어 세상을 바꾸는 혁명의 도화선이 되기도 했다. 2. 세상에는 두 종류의 사람이 있다. - 책을 읽는 사람. (책에는 인생의 지식이 있고 그 지식이 사람을 변화 시킨다.) - 책을 쓰는 사람.(책을 쓰면서 인생을 배우며 지식을 창조하고 그 지식이 누군가게 영향을 준다.) - 책만 읽다 끝날 것인가? 아니면 책 쓰기에 도전할 것인가? - 이것이 진정 미래를 위해 앞서가는 1%와 그 뒤를 따르는 99%이다. 3. 왜 책을 써야 하는가? - 책 쓰는 것은 지식의 정리다. 공부한 것을 단순히 흘리는 .. 더보기
임진왜란과 국가경영 (2) - 포르투칼과 조선과의 만남 2006년 11월 중국의 국영 ‘CC-TV 경제채널’에서는 한 때 세계 패권을 쥐었거나 지금도 쥐고 있는 9개 나라의 경쟁력과 권력 분점, 법치와 교육 등 제도적 강점을 집중 부각 소개하는 다큐멘터리 시리즈를 제작하여 전 세계적인 반향을 일으켰다. 이름 하여 ‘대국굴기(大国崛起)’이다. 여기서 소개된 아홉 나라는 ‘스페인ㆍ포르투갈ㆍ네덜란드ㆍ영국ㆍ프랑스ㆍ독일ㆍ일본ㆍ러시아ㆍ미국’이다. 이 아홉 나라 중 처음에 소개된 나라는 영국이 부상하기전 세계의 바다를 호령했던 유럽 서쪽 이베리아 반도에 위치하고 있는 스페인과 포르투칼이다. 스페인은 우리에게 ‘무적함대’로 익히 알려져 있다. 그러나 축구 잘하는 나라 정도로만 알려진 ‘포르투칼’이 한 때 세계 패권을 가졌었다는 것은 다소 낯설게 느껴진다. 포르투칼은 114.. 더보기
세상에서 가장 착한 사람 착한 기업, 착한 상품, 착한 소비자, 착한 마케팅...코즈 마케팅과 연관된 주체들에게는 이처럼 ‘착한’이란 수식어가 붙는다. 그렇다면 세상에서 가장 착한 사람은 누구일까? 사람들마다 제 각각 생각하고 있는 사람이 있겠지만 많은 사람들이 착한 사람 하면 이 사람을 떠 올릴 것이다. 이 사람은 지금 살아있는 한명의 사람이 아니다.이 사람의 활동 시기는 매년 12월 한달이다.이 사람을 기다리는 노래만 수십곡이고 때가 되면 이 사람의 얼굴은 거리와 쇼핑몰, 언론 매체에 어김없이 등장한다.이 사람에 대한 절대 지지층은 어린이들이다.이 사람의 특히 형편이 어려운 사람들에게 관심이 많다. 잠시나마 그들에게 웃음을 주며 용기를 주고 싶어한다.매년 겨울 수십만명이 이 사람의 트레이드 마크인 빨간 옷을 입고 사람들에게 .. 더보기
브랜드 자산의 전략적 중요성 기업의 가치는 곧 브랜드의 자산적 가치로 평가되는데, 브랜드의 가치가 높으면 그 기업의 가치도 높아진다. 세계20대 브랜드를 가진 회사들에 대해 살펴보면, 기업명과 제품의 브랜드명이 동일한 브랜드가 많다. 이들 브랜드(기업)들은 대부분 단일 전문업종으로 브랜드 이미지가 명확하고 세계시장에서 확고한 브랜드 포지셔닝을 갖고 있다. 즉 최고의 자산가치를 가진 브랜드는 핵심사업 영역에만 마케팅 노력을 집중함으로써 성공하고 있는 것이다. 경쟁우위를 확보하는데 있어서 브랜드 자산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최근에는 브랜드 보다는 제품의 가격을 더 중시하는 추세에 따라 소비자들의 유명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가 낮아지고 있는데, 이로 인한 반사이익으로 시장선도 브랜드의 자산적 가치는 상대적으로 더욱 높이는 결과를 초래했.. 더보기
브랜드 자산 브랜드자산(Brand Equity)이란 브랜드의 이름 및 성장과 관련하여 형성된 자산의 총액에서 부채를 뺀 것으로서, 브랜드 자산이 높다는 것은 그 브랜드를 부착한 것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기업과 고객에게 제품의 가치를 증가시키는 경우를 의미한다. Keller교수는 브랜드 자산을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가 브랜드를 가졌기 때문에 발생된 바람직한 마케팅효과(가령, 높은 브랜드 충성도, 시장 점유율 또는 수익)로 정의하고, 브랜드 자산은 소비자의 브랜드 충성도에 의해 창출되며, 이는 고객의 높은 브랜드 인지도와 강력하고 호의적인 브랜드 연상(브랜드 이미지)으로부터 형성된다고 보았다. 브랜드 자산형성에 기여하는 주요 브랜드 구성요소로는 브랜드명, 로고, 심벌,캐릭터, 슬로건, 징글, 패키지 등을 들 수 있다. 더보기
이어령 선생님이 말씀 하시는 세계화 죽은 다이애나는 ‘영국인’이었고사고가 발생한 곳은 ‘프랑스 파리’의 지하차도였다.타고 있던 차는 메르세데스 벤츠 ‘독일차’였다.다이애나의 애인, 도드 파예드는 ‘이집트인’이었고운전기사는 ‘벨기에인’이었고뒤쫓던 파파라치는 ‘이탈리아인’이었다.병원에 실려 갔을 때 집도한 의사는 ‘미국인’이었고그가 사용한 마취약은 ‘남미산’ 키니네(Kinnie)였다.다이애나 왕세자비의 죽음이 전 세계에 알려졌을때 사람들이 보던 PC 모니터는 ‘한국제’였고그 PC의 운영체제 윈도는 ‘미국제’였다.다이애나 왕세자비가 묘지에 묻혔을때헌정된 화환은 ‘네덜란드산’이었다. 더보기
‘임진왜란과 국가경영’ 시리즈를 연재하며 1592년 음력 4월 13일(양력 6월 2일). 한반도에는 잊지 못할 아픔의 사건이 시작됐다. 바로 일본이 조선을 침략한 ‘임진왜란(壬辰倭亂)’이다. 1392년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한 이후 200년 동안 한반도에는 거의 전쟁이 없었다.해안에 왜구가 나타나고 북쪽의 오랑캐가 출몰하기도 했으나 국가의 안위에 큰 영향을 끼치지는 못했다. 갑작스런 일본의 침공에 조선은 전쟁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았다. 더구나 상호견제를 통해 공존을 모색하고자 한 붕당정치의 취지는 사라져 버리고 세력 간의 경쟁구도로 변질하고 있었다. 이러한 때 일본의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신흥세력을 견제하고 자국의 힘을 하나로 모으기 위해 ‘대륙 정복’의 구호를 앞세워 20만 대군을 이끌고 조선으로 물밀듯 밀려들었다. 이후 7년 .. 더보기
앞으로 우리가 당면할 문제들 미래학자이자 환경 저널리스트 알렉스 스테픈은 저서 『월드체인징』에서 지구촌이 당면한 과제들을 물질, 주거, 도시, 지역사회, 비즈니스, 정치, 지구환경 등 7개 주제로 나누어 진단하고 위기의 해법들을 제시하고 있다. 『월드체인징』은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혁신을 연구하는 전세계 저널리스트, 디자이너, 미래학자, 기술자들의 온라인 두뇌집단인데 참여와 공유를 바탕으로 한 민주주의의 미래, 책임 있는 소비, 생태와 환경, 주거와 공동체, 복지와 삶의 질,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친환경 비즈니스, 새로운 소통의 구조와 미디어 등에 걸쳐 혁신적 창의적인 아이디어들을 분출해 내고 있다. 더보기
B Corporation B Lab은 B Corporation이라는 브랜드 인증을 위해 공유가치 창출을 통한 사회혁신을 목표로 하는 기업들의 성과를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B 임팩트 평가 (B Impact Assessment) 시스템을 통해 평가하고 있다. B Corps 는 진짜 좋은 회사 그저 좋은 마케팅 수단을 구분 할 만한 명확한 기준이 되는 것이 B 인증의 목표라고 말한다. B 임팩트 평가 시스템은 산업과 규모에 따라 60∼180개의 질문으로 구성된 평가 설문에 기업 관계자가 응답하고 증빙 서류를 제출하면 B Lab은 기업 지배구조의 투명성, 지역사회, 환경, 소비자, 임직원이라는 5개의 영역에서 5점 척도로 별점을 부여한다. 200점 만점에 80점 이상을 받으면 통과하게 되고 평가를 받을 때 기업들을 B 임팩트 평가 시스템.. 더보기
누군가 말하기를... 광고는 Buy me선전은 Believe me홍보는 Know mePR은 Love m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