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이야기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착한 소비 10계명 1. 착한 생산물 매장 방문하기 2. 재활용품으로 만든 물건 사용하기 3. 매달 하루는 착한 소비의 날로 정하기 4. 착한 선물로 감동 두 배 전하기 5. 주변에 ‘이로운몰(착한기업쇼핑몰) 추천하기 6. 착한 기업에서 자원 봉사하기 7. 제품의 탄생과정의 과정에 관심 가지기 8. 상품에 대한 착한 라벨 확인하기 9. 동물 실험 및 학대하지 않는 제품 구매하기 10. ‘착한 소비’에 대해 블로그에 홍보하기 더보기
착한소비자 K씨의 하루 마포에 사는 K씨. 두 아이의 엄마이자, 한 남자의 아내이며, 한 기업의 직원인 그녀의 일상 속에는 늘 착한 소비가 함께 한다.그녀의 행복한 일상을 한번 들여다보자. 07:00 기상. 이른 아침 출근준비를 하는 K씨. 중증장애인을 고용한 사회적 기업에서 제작하는 칫솔로 이를 닦고, 우리 쌀 미강유로 만들어 우리 농촌을 살리는데 도움을 주는 천연비누로 세수를 하니 얼굴이 환하다. 환경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네팔의 가난한 여성들의 자활을 돕는 친환경소재 옷을 입으니 오늘 하루 왠지 기분이 좋아진다. 08:00 아침. 아침을 든든하게 먹어야 하루가 편하다. 오늘 아침은 우리 콩으로 만들어 담백한 건강두부와 유기농으로 재배한 새싹채소에 팔레스타인 농민들이 일일이 손으로 따서 만든 최고급 등급의 올리브유를 사용한.. 더보기
iCOOP생협 - 광고문구 윤리적 소비는 거창한 일이 아닙니다. 지구건강에 해가 되지 않는 친환경제품을 구매하는 일부터 아동학대와 노동착취가 없는 공정무역 물품을 구입하고 겨울철 농가소득을 돕는 친환경 우리 밀을 찾는 일까지 - 소비활동에서 작은 실천 하나하나가 나와 우리 이웃, 지구환경까지 생각하는 가치 있는 소비입니다. 소비만 잘 해도 지구환경을 지킬 수 있습니다. 소비만 잘 해도 더 많은 사람들이 웃는 세상이 됩니다. 윤리적 소비 iCOOP생협에서 시작됩니다. 더보기
윤리적 소비 Know-Where 윤리적인 소비가 확산되는 배경에는 소비자가 네트워크로 소통하는 공명심과 정의감의 공론화가 있다. 윤리적 소비의 영향력이란 소비가 생산을 바꾸고 소비가 권력화 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윤리적 소비는 무역에서 공정무역(Fair Trade)을 정착시키기도 하고 사회적 기업의 창업 확대를 유도하기도 하고 관련 정부 정책의 변화를 유도해 나가기도 한다. 서구 선진국은 이러한 윤리적 소비를 가이드 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있다. 사회적 차원에서 기업의 업적을 평가하는 미국의 경제우선권협의회(CEP, Council On Economic Priorities)는 1991년부터 기업의 사회적 책임성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더 나은 세상을 위한 쇼핑(shopping for a better world)』란 책자를 발간해 소.. 더보기
소비자여, 윤리적 소비자가 되라. 조선후기 대표적 실학자인 박제가는 저서 《북학의》에서 근검절약과 검소함으로는 나라의 경제를 발전시킬 수 없다고 하면서 소비를 장려해 생산을 촉진하고 상업을 활성화시켜야 한다는 을 펼쳤다. 이는 조선을 농업이 아닌 상공업과 해외통상으로 먹고 사는 경제체제로 개혁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특히 박제가는 부(富)와 재물을 우물에 비유하면서 퍼내면 퍼낼수록 가득하지만 사용하지 않으면 말라버린다고 했다. 예를 들어 화려한 비단옷을 입지 않는 나라에서는 비단을 짜는 사람이 없기 때문에 직조 기술이 발전하지 못하고 견고하고 수려한 물건을 만드는 사람을 칭찬하지 않는 나라에서는 장인과 기술자의 솜씨가 형편없어 날로 기술이 도태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화려한 비단옷을 찾고 튼튼하고 수려한 물건을 원하는 소비자가 있으면 .. 더보기
모든 것이 브랜드다. 브랜드는 상업적인 거래에만 활용 되는 것이 아니다. 비영리기관이나 공공 부문 그리고 개인까지도 브랜드화가 가능하다. 그동안 브랜드는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이 생산한 제품과 서비스가 중심이 된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에는 비영리기관이나 공공부문에까지 브랜드가 도입되고 있다. 비영리기관과 공공부문에서의 ‘브랜드’ 도입은 주로 공익성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며 해당 단체와 기관에 대한 이미지 개선과 신뢰형성에 영향을 주며 기부, 자원봉사와 해당 기관이 벌이고 있는 캠페인 참여(에너지절약, 환경 보호 등 사회적 이슈) 등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사람 역시 브랜드화 할 수 있는데 정치인, 연예인, 스포츠선수 등 대중인사들이 바로 여기에 해당된다. 이들은 대중에게 호감을 주는 이미지를 전달함으로써 .. 더보기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브랜드 이미지 사람은 누구나 남들이 나를 이렇게 평가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고 싶은 나의 모습을 보여주며 “나는 이런 사람이야” 하고 표현을 하기도 한다. 이것을 기업의 상품과 서비스에 적용하면 바로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된다.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미래 개념’으로서 기업이 고객들로부터 자사 브랜드에 대해 궁극적으로 갖기를 기대하는 희망사항을 말한다. 따라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수립은 고객들에게 자사 브랜드에 대해 궁극적으로 어떤 브랜드 연상을 갖도록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이다. 브랜드 관리에 있어서도 중·장기적인 비전이 필요하며, 이러한 브랜드 비전을 정하는 것이 바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수립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또한 사람은 남들로부터 의도하던 의도하지 않던 자신에 대해.. 더보기
브랜드의 필요성 기업은 이익을 내기 위해 제품과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공급한다. 사회적 기업도 이부분에서는 일반 기업과 별반 다르지 않다. 그런데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과 서비스에는 해당 기업만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담는다. 우리는 이것을 ‘브랜드’라 말한다. 브랜드란 무엇일까? 브랜드는 생산자의 제품과 서비스를 다른 생산자의 그것과 구별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사용되어 왔다. 옛 노르웨이어인 ‘brandr'에서 유래되었고 이것은 가축 소유주들이 자신의 가축들을 식별하기 위해 표시하는 수단이었고 지금도 이러한 관행은 계속되고 있다. 우리나라에도 브랜드와 비슷한 개념의 표현이 있는데 바로 ‘시치미’란 단어다. 고려시대에 원나라의 영향을 받아 매 사냥이 유행을 했었는데 사냥한 매의 발목에 주인의 이름표를 따라 매어단 것을 시치미라.. 더보기
경영전략수립을 위한 분석 1) 현상 분석경영이념, 비전, 전략, 조직구조, 사업계획, 현안문제, 재무분석이 있다. 2) 환경 분석 일반환경 분석(정치, 경제, 사회문화, 기술적 요인)- 1 단계 : 자사에 기회와 위협이 되는 환경변화의 KEY WORD 추출- 2 단계 : 환경변화의 방향, 속도, 결과에 대한 분석- 3 단계 : 전략적 기본방향의 설정을 위한 시사점 도출 산업 환경 분석- 산업현황 분석 : 산업의 본질적 특성,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경쟁도분석- 산업구조 분석 : 산업의 매력도를 결정하는 구조적 경쟁요인 분석 고객분석- 고객의 행동 파악 > 시장의 세분화 > 세분시장의 매력도 평가 > 목표시장의 선택 > 목표시장별로 제품 POSITIONING 전략을 수립한다.- 경쟁자 분석, 경쟁기업의 선정, 직접 경쟁하고 있.. 더보기
경영전략 수립과정 1단계 : 기업의 사명(mission)/목표(goals)의 설정- 기업의 존립근거와 존립의 당위성을 설명- three components of mission statements : def. of company's business, major goals, corporate philosophy- 사업영역의 결정 : 제품중심적 vs 원초적 욕구중심적- 기업의 전략적 목표 : 기업의 중․장기적 희망, 열망을 표시(전략적 목표 vs 재무적 목표)예) Canon "Beat Xerox", Komatsu "Encircle Caterpillar"- 경영이념 : 기업의 기본적 신념과 가치관, 철학적 신조예) LG의 고객을 위한 가치창조, 인간존중 경영 2단계 : 기업의 내, 외부 환경분석- 외부환경의 분석 : 기회와 위협..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