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일한국/통일한국 스토리텔링

세월은 흘렀지만...

1980년대 우리나라 어느 방송국에서 있었던 일이다. 뉴스를 진행하던 아나운서는 뉴스 원고에 있는 ‘사회정의에 입각한’을 그만 ‘사회주의에 입각한’으로 잘못 읽고 말았다. 한번 뱉은 말은 돌이킬 수 없는 법. 아나운서는 이내 등골이 오싹해졌고 앞으로 닥칠지도 모를 일에 대한 두려움에 다음 뉴스를 제대로 진행할 수 없었다. 뉴스 후반부에 아나운서는 방금 전 했던 사회주의 발언(?)을 정정하고 나서야 겨우 한숨을 놓을 수 있었다.


이념적 분단을 겪고 전쟁을 치른 한국에서 사회주의라는 단어는 써서는 안 될 금기의 용어였다.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는 공통점도 있지만, 차이점도 분명한 서로 다른 개념의 용어임에도 불구하고 ‘사회주의=공산주의=빨갱이=인간 말종, 민족의 원흉’이란 등식은 지난 세월 우리의 모든 가치와 판단에 적지 않는 영향을 미쳤다.


독일이 통일되고 소련을 위시한 동유럽 공산주의가 막을 내리면서 공산주의와 관련된 용어들은 이내 역사의 패잔병이 되어 우리의 생각에서 사라져갔다. 중국이 개혁 개방을 하고 민족의 반쪽인 북한도 극심한 경제난을 겪는 것을 보며 공산주의 광풍은 더 이상 과거처럼 우리에게 위협적인 존재가 되지 않았다.


공산주의는 개인의 경제적 자유에 기초한 자본주의가 갖고 있는 빈익빈 부익부의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 시작되었고 가난한 사람들의 지지를 받으며 세계 곳곳에서 붉은 혁명을 일으켰다. 하지만 공산주의도 개인의 자유를 말살한 지나친 전체주의로 인해 자가당착의 결말을 보게 되었다.


공산주의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고 해서 자본주의가 갖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까지 자동적으로 해결되지는 않았다. 경제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발전하지만 여전히 하루를 1달러 미만으로 살아가는 수억 명의 사람들이 있고 잘사는 선진국과 못사는 후진국 간의 불공정한 무역은 여전하다. 또한 우리나라 안에서도 빈부격차가 더욱더 벌어지고 빈곤의 문제가 개인의 노력으로 극복하기 힘든 구조적인 문제가 되어버리는 사회양극화 문제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