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일한국/통일한국 스토리텔링

통일교육 컨텐츠의 티핑포인트 (Tipping Point)

1. 영상의 힘

1983년 6월 30일 밤 10시 15분. KBS 한국방송은 텔레비전을 통해 한국전쟁 휴전 30주년특집으로 전쟁중에 흩어진 가족을 찾는 <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누가 이 사람을 모르시나요> 프로그램을 방영했다. 이 프로그램은 이산가족 150명을 대상으로 3시간 정도 방영할 예정으로 기획되었다.

하지만 프로그램이 시작되자 1,000명 이상의 이산가족이 몰려들었고 방송은 정규시간을 넘어 연장에 연장을 거듭했다. 이산가족을 찾는 행렬이 예상을 뛰어넘어 장사진을 이루자 KBS는 모든 정규방송을 취소한 채, 세계 방송 역사상 유례가 없는 '이산가족찾기' 릴레이 생방송을 진행하게 된다. 이 방송은 78%라는 경이적인 시청률을 기록했고 방송을 대부분의 시청자들은 이산가족 상봉을 자기 일처럼 받아들이며 감격의 눈물을 흘렸다. 이산가족찾기 방송은 11월 14일까지 138일 동안 총 453시간 45분 방송됨으로써 단일 주제 생방송 기록을 남겼고, 총 10만 952건의 신청건수가 접수되어 1만 180여 이산가족이 상봉했다.
 


이산가족 찾기가 전 국민의 관심을 끌게 된 시점은 전쟁이 휴전되고 정확히 30년뒤의 일이다. 이산가족 찾기는 1970년대 초반부터 신문이나 라디오 등을 통해 간간히 진행이 되고 있었다. 하지만 1983년처럼 대중적인 폭발력을 가지지는 못했다. 신문은 활자 매체의 한계가 있었고 라디오는 볼 수가 없었다. 무엇보다 실시간으로 정보제공이 되지 않아 적극적인 관심을 갖지 않는 이상 가족 확인이 어려웠고 어디에선가 정보를 접해도 확인이 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1983년 이산가족 찾기는 경제 성장으로 살림살이가 나아지고 방송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국민들 가슴속에 맺혀있던 한을 풀어주었다. 1983년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소득은 2천 달러 수준이었다. 넉넉하지는 않았지만 기본적인 의식주 문제가 해결되어 한 세대 전 잃어버린 가족을 찾고자 하는 약간의 여유가 생겼다. 또한 1983년 실시간으로 영상을 접할 수 있는 텔레비전 보급률이 82.5%에 달해 전 국민적인 관심을 가질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방송통신 기술의 발전은 이산가족의 꿈을 현실로 만들었다. 1980년 컬러 텔레비전 방송이 시작되면서 선명한 텔레비전 화면을 시청 할 수 있게 되었고 서울을 비롯한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전주, 청주, 춘천 등의 전국 주요 도시를 실시간 생방송으로 연결하는 공영방송 KBS의 네트워크는 이산가족 상봉에 큰 힘을 발휘했다. 서울에 사는 누나가 부산의 남동생을 만났고, 대구에 사는 오빠가 광주의 여동생을 만나고, 전주에 사는 엄마나 청주에 사는 딸과 춘천에 사는 아들을 만날 수 있었다. 방송에서 미처 확인 하지 못했던 사항들에 대해서는 글을 써서 FAX를 통해 확인을 하기도 했다.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이 없었던 당시로서는 지역 방송 네트워크를 연결해서 화면으로 가족을 확인하고 팩스로 문서를 보내는 것 자체가 최첨단의 방법이었다. 방송통신 기술의 발전은 휴전이후 30여년 동안 묵혀 두었던 ‘이산가족’ 이라는 사회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해 주는 실마리를 제공했다.




 

2. 티핑 포인트 (Tipping Point)


1) 티핑 포인트 (Tipping Point)란?

작은 변화들이 어느 정도 기간을 두고 쌓여, 이제 작은 변화가 하나만 더 일어나도 갑자기 큰 영향을 초래 할 수 있는 상태가 된 단계. 즉, 예기치 못한 일들이 갑자기 폭발하는 지점.


2) <티핑 포인트>의 저자 말콤 글레드웰은 티핑포인트를 만드는 3가지규칙을 제시

① 소수의법칙 : 감염을 일으키는 소수의 사람. 작업의 80%는 소수의 20%가 수행

② 고착성요소 : 감염 인자. 전염되는 메시지를 기억하도록 하는 특수한 방식

③ 상황의 힘 : 감염인자가 활동 할 수 있는 환경. 상황과 조건, 이런 것들이 작용하는 특수한 상황에 영향을 받는 것이 전염.


3) 1983년 이산가족 찾기는 티핑 포인트의 정수(精髓)

- 소수의 방송인력, 전 국민이 공감하는 이산가족의 스토리, 경제적 안정과 방송통신기술의 발달



3. 통일교육의 티핑 포인트를 찾아서


1) 소수의 법칙 : 정부주도 or 정부가 민간의 주도하도록 도움을 주거나 순수 민간 형태. 하지만 어떤 방식으로든 핵심은 ‘창조적 소수’


2) 상황의 힘 :

- PEST(정치/경제/사회/기술) 고려.

- EST 큰 변수가 안 됨.

- 사회와 기술적인면은 과거 보다 열려 있고 기술을 활용하여 더 많은 것을 구현가능.

- 문제는 P(정치적)의 상황. 4월 21일 개봉하는 인민군을 인간적으로 묘사한 영화 <적과의 동침>을 유심히 지켜볼 필요가 있음.


3) 고착성의 요소 :

- 고착성의 핵심은 컨텐츠에 있음.

- 공감(共感)을 불러일으키고 감동(感動)을 주는 메시지. (Ex. 1차대전대전중 크리스마스 휴전)

- 이해와 화해의 메시지. (Ex. 철강왕 박태준과 소설가 조정래의 만남)

- 미래에 대한 꿈. (Ex. 골드만삭스의 통일한반도에 대한 보고서)



4. 결론


- 티핑포인트는 소수의법칙, 고착성의 요소, 상황의 힘. 세박자 조화가 이루어졌을때 가능함.

- 통일교육도 이 세 가지가 어우러지지 않으면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교육자료가 아닌 또 하나의 자료가 될 것임.

- 현재 ‘상황의 힘’에서 P의 요소는 불가항력적인 면이 많은 것은 사실이나 ‘고착성의 요소’에서 최대한 이를 극복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