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일한국/통일한국 스토리텔링

통일을 준비하기 위한 네트워크

1. 북한을 품고 통일을 꿈꾸며

(1) 북한 사회 이해하기

분단 64주년...한국전쟁 59주년...

북한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 적(敵), 같은 민족, 그리스도안에서 한 형제, 도움이 필요한 대상... 이러한 북한 이미지가 mix 되어 있다.

북한 사회는 부채살 조직의 사회이다. 부채살은 살과 살끼리 마주 할 수 없고 오직 맨 밑바닥의 연결점을 통해서만 이어준다. 사상, 집회, 언론, 여행, 통신의 자유가 없고 오직 한가지만을 위해 존재하는 cult state. - 기근과 고립의 나라

(2) 북한선교

북한 사람들에게 그리스도의 사랑을 전하는 것

1980년대 이전 ‘교회=반공’의 등식이 성립 됨.

1980년대 후반 ‘기독교장로회’를 중심으로 북한과 대화하기 시작

1990년대 초반 이후 한국교회의 대북사업이 시작됨

(대북구호사업, 북한교회재건운동)

1990년대 중반 이후 북한의 ‘고난의 강행군’ 시기 이후 탈북자 급증 (탈북자 문제가 북한 선교의 주요 사역이 됨)

-방법 : 북한의 문이 열리면 그곳에 교회를 세우고 창의적인 사역들을 통해 복음을 전함 (카이로스)

- 현실적인 접근들

․ 탈북자 사역 (남한내 or 3국)...두리하나 등

․ 대북구호사업 (NGO 중심)...한민족복지재단, 남북나눔운동 등

․ 북한교회 재건운동 (각 교단중심)...기장, 예장(통합), 기감등

․ 통일교육 및 통일문화운동...(통일교육문화원)

․ 방송 미디어 (극동/아세아 방송)

․ 지역연구 및 정책적 접근 (성경적토지정의모임, 한국리더십학교 등)

․ 각 교회 및 선교단체의 북한선교 프로그램 (CCC 젖염소보내기 등)

- 일반적인 기독인 북한․통일 관련 모임의 인적구성

․ 북한 선교 헌신자 및 관심자 (Calling)

․ 가족/친지중에 북한 출신이 있는 있는 경우

․ 민족 문제에 관해 고민 하던중

․ 학술적인 접근을 하던중 (주로 정치학, 경제학, 국제관계학 전공자)

․ 국내외에서 북한의 현실에 대해 접하고 (인권문제, 기아문제 등)

․ 북한 자유 이주민 출신

(3) 통일운동

분단구조의 해소를 위해 많은 노력들이 있어 왔다. 갈라진 민족을 하나로 묶기 위한 노력 우리는 이것을 ‘통일운동’이라 부른다.

통일은 모든 국민의 바램이었지만 통일운동은 소수의 무리들에 의해 진행 되었다.

분단의 초창기 아쉽게도 그것은 기독인들이 아닌 민족주의자들이나 진보운동가들에 의해 진행 되었다.

1950년대의 진보당의 조봉암. 60년대 초반의 조용수를 비롯한 혁신계 인사들, 80년대 문익환, 백기완 같은 진보진영의 인사들이 통일운동을 주도 했다.

냉전시대 기독교계의 통일운동은 진보나 혁신진영의 통일운동과는 다르게 반공에 기반을 둔 우파의 논리에 충실히 했으며 1990년대 냉전 체제의 붕괴 이후 북한에 대한 시각이 인도적, 민족적, 그리스도의 한 형제로 접근하게 되었다.

연대

기독교계

정세

1945 ~ 1950‘s

통일은 곧 반공/멸공/승공을 의미

북진통일론 (무력에 의한)

1960‘s ~ 1980's 중반

남북 체제경쟁

1980's 후반 ~ 1990‘s

진보교단 중심으로남북교류시작 (1986)

동구사회주의 몰락

중국 개혁 개방

남북나눔운동 발족 (1992)

첫 교계 통일학술대회 (1994)

탈북자 급증, 대북 국제지원 증가

평화통일과 한국기독교출간 (1997)

2000 ~ 현재

NGO대북지원 활성화 (2000)

남북정상회담

남북교류 활성화

6자회담 (북핵문제)

기독교통일포럼 발족 (2003)

기독교통일학회 발족 (2006)

통일한국대회 (2007)

2. 새술은 새부대에 - 새로운 시대, 새로운 통일운동 발상의 필요성

(1) 변화의 시대

이념의 붕괴이후 나타난 현상들

The Democratization of Technology

The Democratization of Finance

The Democratization of Information.....

Thomas Friedman... <The Lexus and Olive Tree>

한반도는 지금 세계화 체제속에 편입된 남한과 체제의 위기속에 편입을 주저하는 북한...그리고 주변 열강들의 파워게임 가운데 있다.

(2) 통일운동의 패러다임의 변화

1990년대 초반 동구사회주의권 붕괴와 이후 몰아닥친 세계화의 열풍을 거치면서 통일운동의 패러다임도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 이념 대결을 기초로한 대립과 갈등에서 평화를 기반한 화해와 협력을 통한 남북 교류의 움직임이 싹트기 시작했다.

과거 패러다임

새 패러다임

가치 및 지향

이념 대립과 갈등

우리 민족 내부문제

화해와 협력

동북아 평화와 번영

추진주체

관(官) 주도의 분위기 조성

명망가 중심의 개별 활동

연합 운동체, 전문네트워크

운동방식

북한선교(조그련과 교류,탈북자지원)

북한연구 (반공주의)

대북 인도적 지원

북한선교 영역 다각화

북한 개발에의 참여

각 분야별 통합준비

<세대별 특징>

① 제1세대 (반공세대)

- 전쟁을 겪은 세대

-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음

② 제2세대 (통일운동과 북한연구의 선구자들)

- 40대 중반 ~ 50대

- 475세대 : 50년대에 출생해서 70년대에 대학을 다님

- 현재 통일운동에 가장 주축이 되고 있는 세대

- 철저한 반공 교육을 받았고 기존 기독교계 질서에 순응

- 전문성을 갖고 통일운동을 하기 시작. 그러나 연합보다는 독자적인 활동성이 강함

③ 제3세대 (뜨거운 가슴, 부족한 경험)

- 30대 중반 ~ 40대 중반

- 386세대 : 60년대 출생해서 80년대 대학을 다님

- 개혁 성향이 강하고 Intra-Network이 잘 되어 있음

- 대학시절 통일문제 대해 고민한 세대

- 기존 기독교 질서에 비판적이며 변화를 갈망함

- 각 분야 전문인들이 많이 있으며 뜻이 통하면 연합운동에 대한 부담감이 없음

④ 제4세대 (다원화, 국제화 세대)

- 20대 ~ 30대 초반

- 70년대 태어나 90년대 대학을 다님

- 통일문제를 다차원적으로 보기 시작한 세대

- 배낭여행, 어학연수 세대 (국제화에 익숙)

- 통일에 대한 관심도가 점점 낮아짐

<참여 범위 확대>

1) 1990년대 이전 통일운동에 참여 할수 있는 공간이 극히 제함되어 있었음 (일부 목회자와 북한 연구자)

2) 1990년대 후반 대북 포용정책 실시 이후 남북 교류의 폭이 넓어 짐

(금강산관광, 개성공단, 탈북자 문제, 통일교육, NGO활동 등 통일운동의 새로운 영역이 생겨남)

3) 통일운동의 분야

- 대북지원 (NGO 활동)

- 북한 개발 (남북경협, 교육사업)

- 북한인권문제 & 평화운동

- 통일교육

- 탈북자 문제 (남한내 거주, 제3국 거주)

- 북한연구

- 통일정책연구

3. 문제점 및 대안

(1) 문제점

1) 기존 통일운동은 체계적인 계획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각종 남북관련 현안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운동이 전개 됨

- 민족의 통합과 통일에 대한 비전을 가지고 단순한 연구나 정세분석이 아닌 민족의 미래에 대한 깊은 통찰력에서 나오는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의 통일전략이 필요함.

2) 명망가 위주의 개별 활동이나 개별 단체위의 활동이 중심이 되어 네트워크가 약함.

- 이러한 현상은 북한 사회의 특수성과도 무관하지 않음. 북한&통일관련 정보에 대한 나눔이 필요함.

3) 각 분야별 전문화, 대중화, 국제화 전략이 약함.

- 즉, 각 현안들에 대한 정책을 마련하고 제시하는 노력이 필요함.

(2) 대안

1) 전문인 네트워크

- 전문가를 모으고 이어주는 역할의 필요성

- 각 분야별 전문가 모임의 필요성

(경제인, 과학기술인, 엔지니어, 법조인, 언론인, 문화예술인등)

2) 대중화운동

- 모호하고 추상적인 통일 운동을 생활속에 접하고 실천케 함

- 통일문제에 관심을 갖도록 교육 홍보하며 후원하도록함

3) 국제 네트워크

- 북한에 대한 정보 습득과 대북지원 및 개발은 그 특수성으로 인해 국제 단체와 기국 그리고 다국적 기업들이 양질의 정보를 갖고 있는 경우가 많음

- 해외 코리안 디아스포라와의 연대의 필요성

- 기독청년들이 국제 감각을 익힐 수 있도록 기회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