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을 노예해방과 사회의 잘못된 악습을 개혁하기 위해 노력한 영국의 정치인 윌리엄 윌버포스의 일대기를 다룬 영화 <어메이징 그레이스>에는 이러한 장면이 나온다. 번번이 노예무역 폐지(안)를 의회에 제출했다가 뜻을 이루지 못해 좌절한 윌버포스는 한 여인을 만나면서 다시 한 번 새 힘을 얻게 된다. 이 여인은 자신의 노예들이 만든 설탕 불매 운동에 적극 가담하고 있고, 조사이어 웨지우드가 만든 배지를 차고 다닌다고 말해 윌버포스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당시 영국에서는 노예들이 생산한 서인도 제도 설탕을 먹지 말자는 운동이 일어나고 있었고, 노예무역 폐지 운동가들은 조사이어가 만든 ‘Am I not a man and a brother?(저는 사람이 아니고 형제가 아닙니까?)' 라고 쓰여 있는 배지를 차고 다녔는데, 이 여인은 자신이 그런 사람이라고 말했다. 영화는 여기서부터 윌버포스가 이 여인과 밤을 새며 지난 이야기를 들려주는 식으로 진행이 된다.
두 사람의 로맨스가 시작될 수 있었던 것은 노예무역 및 노예제도 폐지라는 같은 관심사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한 사람은 의회에서 정책과 제도로 다른 한 사람은 설탕이라는 경제적인 매개체로 말이다.
당시의 무역 형태를 보면 대서양을 가운데에 놓고 유럽과 아프리카, 북중미를 연결하는 삼각무역이 이루어졌다. 영국에서 직물, 총, 철물, 술 등을 싣고 출발한 배가 아프리카 서해안에서 물건 등을 내리고 노예 매매상으로부터 노예를 인계 받아 싣고 북중미의 동인도 제도로 향하게 된다. 이때 노예들은 대부분 노예가 되고 싶어서 노예가 된 사람들이 아니라 납치, 강제 인신매매 등에 의해서 노예로 팔려가는 사람들이었다. 배에 실린 노예들은 북중미의 서인도 제도로 이동하게 되고 서인도 제도에 도착한 노예들은 경매를 통해 플랜테이션 농장주들에 넘겨져 주로 농장에서 일하며 노예 생활을 하게 된다. 설탕, 커피, 담배 등을 재배하면서 노동력을 착취당하면서 말이다.
대서양 노예무역이 영국에게는 부와 노동, 소비재 상품 생산에 있어 경제적인 이익을 가져왔지만 영국의 양심적인 식자층들 사이에서 이를 반대하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었다.
처음으로 노예무역 금지를 공개적으로 이야기한 사람들은 퀘이커교도들이었다. 이들의 ‘신(神) 아래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라는 신조와 노예무역은 상충될 수밖에 없었다. 이들은 의회 청원과 출판, 캠페인 등을 통해 노예무역의 부당함을 알리기 시작했다.
이들의 이러한 노력은 퀘이커교도들뿐 아니라 종교단체와 사회개혁 세력과의 연대를 통해 서서히, 하나 둘 틀을 잡아 나가기 시작했다. 이때 합류하게 된 사람이 노예무역 및 노예해방을 주장한 영국 국회의원 윌리엄 윌버포스와 그가 속한 클래펌 공동체다.
노예무역 금지와 노예해방의 기치 아래 모인 이들은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 1807년에 노예무역 금지 법안을 의회에서 통과시키고 1833년에는 노예제도 자체가 폐지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윌버포스가 주축이 되어 1791년 의회에 제출된 노예무역 폐지안이 부결된 이후 노예무역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새로운 운동을 모색하게 된다. 이 운동은 당시 영국의 최대 수입 품목 이었던 서인도제도의 노예들이 생산한 설탕을 불매하는 운동이었다.
설탕은 서인도 제도의 노예 노동력으로부터 생산되고 있었고 노예 노동력에 대한 수요가 있기에 노예무역이 줄어들지 않는 결론을 내린 운동가들은 이러한 구조를 개선시킨다면 노예무역을 종식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갖고 행동에 임하게 된다.
1791년 윌리엄 폭스에 의해 시작된 이 운동은 노예들에 의해 생산된 서인도 제도의 설탕대신 노예들이 생산하지 않는 동인도 지역의 설탕을 대체 구매하자는 캠페인을 벌이게 된다. 이 운동으로 몇몇 지역에서는 서인도산 설탕 소비가 1/3 이상 줄어들었고 2년간 인도산 설탕의 구매가 10배 이상 늘어났다.
이는 오늘날의 소비자 권리 운동의 시작이고 공정무역의 실질적인 출발점이기도 하다. 서인도제도산 설탕 불매 운동은 1807년 노예무역 폐지에도 기여하게 된다.
노예에 의해서 생산된 설탕에 대한 불매 운동은 1820년대 다시 한 번 일어나게 되는데 이번에는 영국과 영국 식민지 지역의 노예제도 자체에 대한 폐지 운동을 기치로 일어나게 된다. 다시 한 번 노예를 이용하여 생산된 설탕을 판매하는 가게들에 대한 불매운동이 펼쳐졌고 몇몇 무역업자들은 자신들이 들여오는 설탕이 노예와는 무관한 설탕이라는 라벨을 붙이게 된다.
이렇게 해서 나온 결과는 사회를 위해서도, 비즈니스를 위해서도 유익했다. 18세기에 처음 출현하여 전세계에서 산발적으로 시행된 소비자 운동은 윤리적 소비를 통해 나쁜 기업을 착한 기업으로 바꾸고자 여러모로 노력해 왔다. 최근의 공정무역운동을 생각해 보면 시대적 배경과 산업의 유형만 달랐지 그 속성은 비슷하다.
오늘날 선진국과 후진국 사이의 경제 불균형을 극복할 대안으로 꼽히고 있는 공정무역은 이미 200여 년 전 영국에서 혁신적인 생각을 갖고 사람들에 의해 실천되었다. 하늘 아래 누구나 평등하다는 생각을 갖고 말이다.
==========================
위의 글은 2009년에 출간된 <새로운 자본주의에 도전하라>(전병길 고영 공저, 꿈꾸는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http://www.yes24.com/24/goods/3323004 을 참조해주세요...
'사회혁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cial Enterprise London & Fifteen Restaurant (0) | 2011.12.18 |
---|---|
굿윌 GoodWill 그리고 에드가 헬름즈 (0) | 2011.12.14 |
환경, 내일을 늦으리.... (0) | 2011.12.11 |
사회적기업가란? (0) | 2011.12.10 |
그림 한 점에 담긴 생각 - 밀레의 '이삭 줍는 여인들' (0) | 2011.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