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9년 5월, 라이프치히 니콜라이 교회에서 평화 기도회를 마친 수십 명의 시민들은 근처의 아우구스투스 광장으로 향했다. 이들은 공산주의 체제에 항의하고 민주화를 요구하는 평화 시위를 벌였다. 경찰은 교회를 봉쇄하고 시민들을 잡아들였지만 매주 월요일 열리는 평화 시위에 참가하는 시민의 숫자는 점점 늘어났다. 자칫 유혈 사태로 번질 수 있었던 시위는 평화롭게 진행되었다. 니콜라이 교회는 이미 1980년대 초부터 인권과 평화를 위한 기도회를 개최하고 있었다.
동독에 변화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한 것은 1989년 5월 7일 지방선거였다. 다른 사회주의 국가와 마찬가지로 동독 공산당은 자신들이 지정한 후보에 대한 찬반 의사만을 묻고 99% 가까이가 찬성한 결과를 발표했다. 부정선거에 항의하며 라이프치히에서 시작된 집회는 동독 전역으로 확대되고, 100여 차례의 크고 작은 시위들이 일어났다. 이슈도 점점 커갔다. 처음에 ‘부정선거’에 대한 항의로 시작된 시위는 ‘여행의 자유, 신앙·언론의 자유’를 외치는 시위로 번졌다. 11월 6일 시위에는 ‘자유선거’와 ‘베를린 장벽 철거’ 주장까지 들고 나왔다. 민심은 걷잡을 수 없이 요동 쳤다. 그리고 성경 속의 여리고 성벽이 무너지듯 베를린 장벽은 그 수명을 다하고 있었다.
베를린 장벽의 붕괴는 예상치 못하게 다가왔다. 1989년 11월 9일 동독의 정치국원 샤보우스키는 국내외 기자들에게 뉴스 브리핑을 했다. 당시 크렌츠 동독 공산당 서기장은 동독 시민들의 민주화 열기를 식히기 위해 여행자유화법안을 만들었다. 그런데 이것이 즉각적 여행 자유화 혹은 베를린 장벽 해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단지 앞으로 여행을 보다 자유롭게 허가하겠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휴가를 다녀오는 바람에 전후 맥락을 이해하지 못한 샤보우스키가 역사의 흐름에 물꼬를 튼 의도하지 않은 발표를 하게 된다. 기자회견에서 샤보우스티와 이탈리아 외신 기자는 이런 질문과 답변을 주고 받는다.
이탈리아 기자: 언제부터 여행이 자유화 되죠?
샤보우스키: (당황하며…) ‘즉시(?)’
이 오보에 환호한 동베를린 시민들은 베를린 장벽으로 몰려갔고, 서독으로의 통로를 개방할 것을 요구했다. 지침을 받지 못한 동독의 경비병들은 상부와 연락을 시도해 보았으나, 적절한 대답을 얻지 못했다. 결국 경비 초소 지휘관이 문을 열고 말았다. 그리고 독일 분단의 상징이었던 베를린 장벽은 그날로 역사적인 수명을 다하고 만다.
우연에 담긴 필연
이에 앞서 1989년 여름, 헝가리로 휴가 나온 많은 동독인들이 헝가리-오스트리아 국경을 넘어 서독으로 넘어갔다. 훗날 밝혀졌지만 동독인들의 ‘대탈출’은 서독과 헝가리의 당국자들과의 비밀 합의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서독으로 가는 길이 열렸을 때 동독인들은 처음에는 의아해 했다. 서독과 비밀 합의를 한 헝가리는 오스트리아와의 국경에서 동독인들을 대거 초청한 페스티발을 개최한 뒤 오스트리아 국경을 넘는 방법이 표시된 지도까지 배포하면서 탈주를 알선하기도 했다.
이 모든 것이 우연인 것 같지만 1989년 동유럽 사회주의권의 변화는 시대의 흐름이 나은 필연이었다. 문제는 변화의 방향과 속도 그리고 주체였다. 만약 동독의 위정자들이 이러한 변화의 흐름을 읽고 적절히 조절해 나갔다면 동독 체제는 그렇게 빨리 무너지지 않았을 지도 모른다. 1989년 6월 천안문 사태를 무력 진압하려 변화의 흐름을 조절한 중국처럼 말이다. 하지만 동독, 폴란드, 헝가리 등 동유럽은 그리하지 못했다.
1989년 봄만 하더라도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리라고 예상한 사람은 거의 없었다. 미테랑 프랑스 대통령은 “내 생애에서 그런 일은 안 일어날 것”이라고 단언하기도 했다. 통일의 당사자인 독일인들마저도 마음으로는 바라고 있었지만 현실의 가능성에는 큰 확신이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를린 장벽은 1989년 11월에 무너졌고 독일은 1990년 10월 3일, 45년 만에 분단을 극복하고 통일을 이루었다.
'통일한국 > 통일시대를 살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통일, 준비는 했으나.. (0) | 2014.09.05 |
---|---|
독일 통일이 되기까지 (0) | 2014.09.03 |
영화 <화려한 휴가> (2007) - 다만 꿈이기를 바랬습니다. (0) | 2014.09.02 |
‘아침이슬’을 다시 듣게 되다 (0) | 2014.09.02 |
1987년 6월의 함성 (0) | 2014.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