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전쟁

영화 <작은연못> (2010) - 숨겨졌던 노근리 주민들의 비극 노근리 사건과 영화 1999년 9월 미국 AP통신은 1950년 7월 미군이 충북 영동군 노근리에서 발견되는 민간인을 적으로 간주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며, 이 명령에 따라 300여명을 학살한 학살 사건이 발생했다고 보도하였다. 일명 노근리 사건이다. 노근리 사건은 1960년 민주당 장면 정권 당시 미군에 이를 소청한 적도 있고 1994년 이 사건을 주제로한 소설이 출간되고 한겨레신문등에서도 보도를 했지만 아는 사람들만 알았을 뿐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가 1999년 AP통신을 계기로 세계적으로 주목 받는 이슈가 되었다. 이후 한미양국은 공동조사를 통해 노근리 사건이 미군에 의한 양민학살 사건임을 공식발표하였다. 그후 노근리 사건은 이상우 감독에서 영화 으로 제작된다. 영화는 한 여름 마을의 평화로운 풍경에서.. 더보기
냉전의 시대 1950년 6월. 바로 그 시간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사람이 즐기는 스포츠 종목은 단연 축구이다. 규칙이 단순해 누구나 쉽게 할 수 있고, 키가 큰 사람이나 작은 사람이나 공평하게 경쟁할 수 있다. 공과 발이 지닌 원초적인 불안전성으로 인한 팽팽한 긴장과 승리에 대한 희망을 심어준다. 그래서 축구는 나라, 민족, 이념, 종교를 뛰어 넘는 스포츠로 각광받고 있다. 1930년부터 4년에 한번 열리는 FIFA 월드컵은 지구촌 최대의 축구 축제이다. 그런데 2차 세계대전의 여파로 인해 1942년과 1946년에는 아쉽게도 월드컵이 개최되지 못했다. 1950년 6월 24일 오후 3시, 지구촌 남반부 브라질에서는 1938년 프랑스 대회 이후 12년 만에 FIFA 월드컵 축구대회의 개막식이 열렸다. 개막 첫 경기 .. 더보기
영화 <적과의 동침> (2011) - 전쟁과 함께 찾아온 불청객들과의 동거 그 때 그 시절 이만희 감독의 영화 (1963)은 6.25 전쟁을 배경으로 한 반공영화이다. 제작된 지 50년이 훌쩍 지났지만 아직도 이 작품을 기억하는 이들이 많다. 하지만 이만희 감독은 후속 작품인 (1964)의 몇장면이 문제가 되어 반공법 4조 1항 위반으로 구속 된다. 1964년 당시 검찰은 영화 가 “감상주의적 민족주의를 내세워 국군을 무기력한 군대로 그린 반면, 북한의 인민군을 찬양하고 미군에게 학대받는 양공주들의 비참상을 가장 묘사, 미군철수 등 외세배격 풍조를 고취했다”며 이만희 감독의 반공법 위반 사유를 밝혔다. 검찰이 문제를 삼은 영화 속 장면은 이렇다. 북한군에 잡힌 여자포로를 겁탈하려는 중공군을 북한군 장교가 막아내는 장면에서 한 여자포로가 그 북한군 장교에 대해 “참 멋진 남자야... 더보기
1950년 한국전쟁 발발 직후 UN에서 긴박했던 순간 1950년 6월 24일(현지 시간) 트뤼그베 할브단 리 유엔 사무총장은 한밤중에 울리는 전화를 받았습니다. 존 히커슨 미국 국무부 유엔담당 차관보였습니다. 그는 다급한 목소리로 북한의 남침을 알리고 긴급 안전보장이사회 소집을 요청했습니다. 리 총장은 소집된 안보리 회의에서 “북한의 남침 행위는 유엔헌장 및 총회의 결의를 유린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이 보고 때문에 그는 소련의 미움을 사 결국 총장 2기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사임했습니다. 그는 회고록에서 “한국전쟁은 유엔이 직면했던 첫 시련으로 안보리가 단호하게 대처한 것은 정당했으며 나의 당시 처신은 7년 재직 기간 중 가장 올바른 행동이었다”고 회고했습니다. 북한의 남침을 공산주의의 팽창전략으로 인식한 미국은 더이상 묵과 할수 업어 미국은 1950년 6.. 더보기
한국전쟁 영상기록 '전쟁과 인간'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 과거로의 여행을 피할 수는 없다. - 박명림 한국전쟁 발발 57주년이 되는 2007년. 전쟁을 체험한 세대는 역사의 현장에서 사라지고 있고 전쟁을 모르는 세대는 80%를 넘는다. 이 시대의 젊은이들에게 한국전쟁은 실감할 수 없는 머나먼 나라의 이야기와도 같다. 그러나 전쟁의 비극적 실상을 모르고서는 진정한 평화와 상생의 시대로 나아갈 수 없다. 때문에 이 프로그램은 풍요로운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신세대에게 그 참혹했던 한국전쟁의 비극을 당시의 영상으로 생생하게 전하고자 한다. 전쟁의 기억은 전후세대들에게도 현실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생존이라는 또 하나의 전쟁! 참혹한 민간인 피해, 집중조명! 한국전쟁은 2천 5백만 인구 중 민간인 400만 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갔다. 전쟁의 한복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