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본 세상/통계용어 썸네일형 리스트형 ‘표준편차’를 구하는 방법 ① 하나하나의 데이터에서 평균을 뺍니다. (=편차)② 편차를 제곱합니다. (=편차제곱)③ 모든 편차제곱을 합합니다. (=편차제곱합)④ 편차제곱합을 데이터수로 나눕니다. (=분산)⑤ 분산의 루트(제곱근)을 구합니다. (=표준편차) 더보기 검사특성곡선(檢査特性曲線: test characteristic curve) 능력척도와 진점수 사이의 함수관계를 나타내는 곡선. 같은 능력을 지닌 피험자가 검사를 구성하는 각 문항에 정답할 확률을 합하여 그린 곡선으로, 일반적으로 단조증가함수의 형태를 띤다. 검사특성곡선의 형태는 능력척도 위의 피험자 능력 점수들의 빈도분포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특성을 지닌다. 더보기 검사정보함수(檢査情報函數: test information function) 검사가 측정대상인 피검자의 잠재적 특질을 얼마나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함수. 검사정보함수는 문항반응으로부터 구할 수 있는 최대 정보량을 나타내며, 주어진 능력수준에서의 검사정보는 그 능력수준에서의 문항정보들의 총합이다. 검사정보함수의 수학적 공식은 다음과 같다. I(θ) : 능력수준 θ에서의 검사정보의 양 Ii(θ): 능력수준 θ에서의 문항 i가 가지는 정보의 양 N : 검사를 구성하는 문항수 더보기 검사불안(檢査不安: test anxiety) 검사 상황에서 피검자가 느끼는 불안. 지나치게 높은 불안은 피검자를 긴장시키고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게 하여 제대로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검사 불안은 인지적 요소인 걱정과 정서적 요소인 불안감의 두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졌다고 본다. 인지적 요소는 부정적 자기지향적 사고, 즉 결과에 대한 걱정을 나타내며 정서적 요소는 부정적인 감정과 생리적 반응을 포함하고 있다고 본다. 검사불안은 대처 기술을 습득함으로 해소시킬 수 있다. 더보기 개인내-개인간 요인(個人內-個人間 要因: within subject - between subjects factor) 개인내 요인이란 검사조건이나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개인의 특성을 의미하고 개인간 요인이란 서로 다른 개인들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특성을 의미함. Intra-subject와 inter-subjects 요인과 같은 말이다. 실험설계시 개인내 요인은 반복측정설계를 사용하는 경우에 생긴다. 같은 피험자들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피험자가 달라서 생겨나는 오차변산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효율적인 설계방법일 수 있다. 더보기 개별지능검사(個別知能檢査: individual intelligence test) 개인 단위로 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만든 검사로서 집단지능검사와 대비되는 형태의 지능검사. 한사람의 피검자를 대상으로 훈련된 심리학자가 실시하여 보다 개인의 지적 능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지적인 능력 이외에 성격이나 행동 패턴등을 관찰할 수 있어 개인을 다각적으로 이해하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에 임상 장면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개별지능검사는 지필문항보다는 구두문항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때문에 개인의 읽기나 쓰기 능력 때문에 발생되는 오염 효과를 줄일 수 있다. 더보기 개별기술적 접근(個別記述的 接近: idiographic approach) 양적 연구에서와 같이 개인을 어떤 평균치에 의해 나타낼 수 없다는 신념에 기초하여 개인의 특유한 행동들과 일반적 행동들을 알아내기 위한 연구방법. 대표적인 것으로 사례연구법이 있다. 더보기 개방형 질문(開放型 質問: open-ended question) 반응을 위한 선택지가 미리 준비되지 않고 반응자가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을 나타낼 수 있도록 만든 문항 형태. 비구조화된 질문지에서 반응자로부터 다양한 반응을 얻어내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한다. 또한 교수현장이나 면접시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반응자에게 검사자가 원하는 반응 체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연구와 전혀 관련이 없는 반응들이 나오는 것을 통제하기가 어렵다. 더보기 개방형 분포(開放型 分布: open-ended distribution) 원자료로 빈도분포를 그렸을 때 급간의 상한계나 하한계의 끝이 정해지지 않은 무한대의 값을 가져서 한계를 지울 수 없는 분포. 예를 들어, 학습실험에서 어떤 피험자가 정답에 대한 반응을 하지 않아 시간을 결정할 수 없게 되어 반응시간의 상한계가 정해질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때 반응시간별 피험자들의 빈도를 가지고 분포도를 그릴 때 나타날 수 있는 분포가 개방형 분포이다. 더보기 강제선택형 문항(强制選擇型 問項: forced-choice item) 문항에 대한 반응 선택지들이 피검자에게 모두 해당되거나 모두 해당되지 않더라도 가장 근접하는 하나를 꼭 선택하게 하는 문항 유형. 강제선택형 문항은 피검자의 편파적인 반응경향성을 줄이기 위해 개발되었다.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