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료로 빈도분포를 그렸을 때 급간의 상한계나 하한계의 끝이 정해지지 않은 무한대의 값을 가져서 한계를 지울 수 없는 분포. 예를 들어, 학습실험에서 어떤 피험자가 정답에 대한 반응을 하지 않아 시간을 결정할 수 없게 되어 반응시간의 상한계가 정해질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때 반응시간별 피험자들의 빈도를 가지고 분포도를 그릴 때 나타날 수 있는 분포가 개방형 분포이다.
'통계로 본 세상 > 통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별기술적 접근(個別記述的 接近: idiographic approach) (0) | 2012.04.06 |
---|---|
개방형 질문(開放型 質問: open-ended question) (1) | 2012.04.06 |
강제선택형 문항(强制選擇型 問項: forced-choice item) (0) | 2012.04.06 |
가설검정(假說檢定: hypothesis testing) (0) | 2012.04.06 |
가설(假說: hypothesis) (0) | 2012.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