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상황에서 피검자가 느끼는 불안. 지나치게 높은 불안은 피검자를 긴장시키고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게 하여 제대로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검사 불안은 인지적 요소인 걱정과 정서적 요소인 불안감의 두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졌다고 본다. 인지적 요소는 부정적 자기지향적 사고, 즉 결과에 대한 걱정을 나타내며 정서적 요소는 부정적인 감정과 생리적 반응을 포함하고 있다고 본다. 검사불안은 대처 기술을 습득함으로 해소시킬 수 있다.
'통계로 본 세상 > 통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사특성곡선(檢査特性曲線: test characteristic curve) (0) | 2012.04.06 |
---|---|
검사정보함수(檢査情報函數: test information function) (0) | 2012.04.06 |
개인내-개인간 요인(個人內-個人間 要因: within subject - between subjects factor) (0) | 2012.04.06 |
개별지능검사(個別知能檢査: individual intelligence test) (0) | 2012.04.06 |
개별기술적 접근(個別記述的 接近: idiographic approach) (0) | 2012.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