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탈북자들(North Korean defectors)을 중국 국경 내에 구금한 후(after detaining) 강제로 송환(forcibly repatriating)하는 중국의 충격적인 행태(disturbing practice) 대한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한 탈북자 단체는 지난 4월 26일 중국 북부 지린성에서 체포된(be apprehended) 탈북자 200여 명이 북한으로 강제 송환(sent back)됐다고 밝혔다.
자유아시아방송(RFA)는 중국 투먼과 훈춘 지역에서 체포된 최대 60명(up to 60)의 북한 주민들이 북한 접경 도시(a city bordering the North Korea)인 단둥에서도 비슷한 운명(a similar fate)을 겪었다고 보도했다. 언론은 또한 탈북자들이 모두 남한으로 탈출을 시도하다 (attempt to defect) 붙잡혔다고 보도했다.
~ suffered a similar fate : 비슷한 운명의 고통을 겪다.
국가정보원(국정원)도 "중국 당국의 탈북자 추가 송환 가능성(the possible additional repatriations)을 예의주시(closely watching)하고 있다"며 관련 보도를 확인했다. 중국은 앞서 항저우 아시안게임 직후(shortly after) 탈북자 600여 명을 북한으로 송환하기로 결정해 국제사회의 반발(international backlash)에 직면한 바 있다. 이들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국경 폐쇄(border closure)로 인해 약 3년간 구금되어 있던 약 2,000명의 탈북자들 중 일부였다. 전 세계적인 비난 여론에 따라 중국은 한동안 이들을 강제 추방(forcibly deport)하지 않았습니다.
~ Following global condemnation 전 세계적인 비난 여론에 따라
한국 외교부는 "어떠한 경우에도 본인의 의사에 반해 (against one’s will under any circumstances) 강제 북송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유지해 왔다. 그러나 외교부는 중국의 최근 조치에 대해 공식적인 비난(official condemnation)을 자제하고 있다. 이러한 주저함(this reluctance)은 5월 말로 예정된 한-중-일 정상회담을 준비하고 있는 가운데 사건이 발생했기 때문에 외교부가 직면한 딜레마에서 비롯된 것입니다(stems from a dilemma).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토요일 기자회견에서 정상회담의 정확한 날짜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언급했습니다.
~ consistently maintain : 일관되게 유지하다.
~ have yet to be determined : 아직 결정되지 않다.
외교부의 이러한 입장(stance)은 5년 만에(the first in five years) 열리는 한중정상회담이 윤석열 정부에서 악화된(deteriorated) 한중관계를 해빙하는 데 상당한 모멘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탈북민들의 어려움(plight)도 무시할 수 없다. 최근의 북송은 관련 당사자들(the individuals involved)에게 심각한 결과(significant consequences)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우려스럽다. 윤석열 정부는 보다 적극적인 접근 방식(assertive approach)을 채택하고 중국이 이러한 부적절한 조치를 중단하도록 촉구해야 한다.
~ be especially concerning : 특별히 우려스럽다.
탈북민은 굶주림과 끔찍한 상황(dire circumstances)을 피해 가난한 조국을 탈출한 국제 난민이다. 이들을 강제로 북송하면 다양한 형태의 신체적 폭행(physical assault)과 고문, 심지어 죽음에 이르기까지 끔찍한 상황(harrowing situation)에 노출될 수 있다. 특히 중국이 주요 유엔 기구의 회원국(a member of key U.N. bodies)이라는 지위를 고려할 때 북한 주민의 권리를 무시하는 것(to disregard the rights of North Koreans)은 전적으로 부적절하다.
~ fled their impoverished country : 빈곤한 조국을 탈출한
~ It is wholly inappropriate : 전적으로 부적절하다.
우리는 중국이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탈북자에 대한 잔인한 처우(cruel treatment)를 중단할 것(to discontinue)을 촉구한다. 중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a permanent member of the U.N. Security Council)이자 한국의 주요 교역국이다. 이를 고려할 때(Considering this) 중국은 국제적 평판을 개선하는 데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 it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한국 정부는 올해 초 유엔 인권위원회 회의에서 중국에 탈북자 보호를 위한 적절한 조치(appropriate steps)를 취해달라고 요청했다. 이는 '조용한 외교(quite diplomacy)' 정책을 추구하며 이 문제에 대해 목소리를 높이지 않았던 (opted not to raise its voice) 이전 정부들과는 대조적인 모습입니다.
~ take appropriate steps : 적절한 조치를 취하다.
~ contrasts with : ~와 대조적이다.
윤석열 정부는 탈북자 문제 해결을 위해 (in addressing the issue of) 보다 적극적이고 단호한 접근법(more assertive and decisive approaches)을 추구해야 한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왕이 중국 외교부장에게 탈북자들이 북송의 두려움 없이 피난처를 찾을 수 있도록 협조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중국은 안타깝게도 이를 묵살했다 (unfortunately disregarded this request).
~ in addressing the issue of : ~을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English Study > English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challenges we face today (0) | 2021.08.17 |
---|---|
Expensive cosmetics, worth it? (0) | 2012.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