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측정치가 여러 개의 구성요인을 갖는 경우에, 각 구성요인들이 서로 상관을 갖지 않아서 각 구성요인의 값 또는 효과의 합이 곧 측정치의 값이 되는 모형.
예를 들어, 준거변수의 값이 복수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경우에 각 요인의 효과 사이에 상관이 없어서 각 요인효과의 합이 곧 준거변수의 값이 되는 경우를 말한다.
분산분석모형, 심리측정학의 진점수이론의 수학모형은 가법모형의 예이다.
'통계로 본 세상 > 통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설(假說: hypothesis) (0) | 2012.04.06 |
---|---|
가변수(假變數: dummy variable) (0) | 2012.04.01 |
9분점수(구분점수: stanine scores) (0) | 2012.04.01 |
2요인설계(二要因設計: two-factor design) (0) | 2012.04.01 |
1종오류(一種誤謬: Type I error) (0) | 2012.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