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본 세상/구조방정식 썸네일형 리스트형 구조방정식의 t 검정과 Z 검정의 의미 구조방정식 초기에 t 검정은 원래는 student t 분포를 이용한 t 검정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었다. test value 의 약자이었을 뿐이다. 실제의 검증값으로 이용한 검증통계량은 t 가 아닌 Z 검정이었다. 그러나 구조방정식에서 사용되는 표본크기가 대표본이기 때문에 실제에서 t 검증통계량의 경계값이나 Z 검정 통계량의 경계값 Critical values 이나 별 차이가 없고 출력물에서 test value 를 t value 로 인쇄되는 탓에 Z 검정값이 t 검정값으로 오해되었다. 더보기 Heywood case 1. 구조방정식의 개별모형평가시 추정된 분산이 음수인 경우 2.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상관 또는 공유값 ( communality ) 가 1 인 경우를 Heywood case 라 하며 1보다 큰 것을 Ultra Heywood case 라 한다.[출처] Heywood case|작성자 isabella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