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혁신프로젝트

한국을 바꾼 혁신 100 - Korean Innovation 100

Innovation Project (씽크탱크 설립 준비)


‘한국을 바꾼 혁신 100’

Korean Innovation 100



1. 혁신이란 ?


- 누군가 당신에서 ‘혁신하면 무엇이 떠오릅니까?’ 질문하면 어떤 답을 하겠는가?

·스마트폰과 같은 기술적 진보

·훈민정음 창제와 같은 새로운 발명

·인터넷 음원 파일과 같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저비용 컴퓨터 생산방법과 같은 새로운 생산공정

·패션 안경과 같은 새로운 창조적 디자인

·혁신도시 같은 지역 균형발전 전략


- 혁신이란 사전적으로 이야기하면...“묵은 풍속, 관습, 조직, 방법 따위를 완전히 바꾸어서 새롭게 함”이다.



2. (사)리더십코리아와 ‘혁신’


- 우리의 슬로건 중... ‘세상을 변화시키는 기독교리더십’, ‘통일한국을 준비하는 크리스천 네트워크’는 혁신의 새로운 모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혁신의 젖줄이 될 수 있다.


- 변화가 있는 곳에는 늘 ‘혁신’이 있다.


- 결국 우리는 세상에 혁신을 일으키는 사람들...




3. 이번 프로젝트의 목적은


- 한국 혁신을 모으고 정리하는 것. 혁신이론과 사례는 대부분은 영미권 중심으로 연구되고 전파 되어 왔음. ‘한국형 혁신’의 연구 부재.


- 연구의 첫 단계로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한국의 혁신 사례 100개를 정리하고자 함. 일명 ‘한국을 바꾼 혁신 100’, 영어로는 'Korean Innovation 100'




4. ‘한국을 바꾼 혁신 100’ 사업을 구체적으로


- 1948년 이후 한국에 일어났던 혁신적인 사건들을 각 분야별로 정리해서 원인 분석, 과정, 결과, 혁신이 가져다 준 장단점, 미래전망의 틀로 연구하여 발표함


- 각 분야는 ‘기업경영’, ‘행정·제도’, ‘과학기술’, ‘문화체육’, ‘사회’ 이렇게 5개의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함


- 예) 기업경영:삼성애니콜·반도체, 정책·제도:의무교육·의료보험, 과학기술: 통일벼·KTX, 문화체육:쇼트트랙·양궁, 사회:이산가족찾기·인터넷


- 각 카테로별로 팀을 구성해 리서치와 집필과정을 작업을 진행


- 작업기간은 2012. 9 ~ 2013. 8 (1년)


- 연구 결과물은 컨퍼런스를 통해 발표되고 ‘단행본’으로 출간. 단행본의 경우 한글 뿐 아니라 'Korean Innovation 100'으로 영어 번역본도 고려하고 있음. 영어권 주요 대학 및 도서관 뿐 아니라 비영어권의 한국 관심자들에게도 전파. 또한 단행본은 논술교재, 시사상식교재로 활용하기 위해 고품격으로 제작할 예정


- 연구팀 구성은 석박사 이상 동문들을 연구원으로 하고 학부생들을 연구조원으로 할 예정




5. 왜 이 사업을 해야 하는가?


- 한국형 혁신 연구의 부재


- 리더십코리아는 세상와 소통할 수 있는 기회


- 혁신 연구 이후 혁신의 원리 및 혁신 리더십 연구로 그 범위를 확대 할 수 있음. 한

국형 리더십연구의 새로운 지평 개척


- 향후 세워질 연구소 기반 다지기


- 참여하는 동문들의 역량 강화



6. 향후 일정


- 9월 15일 포럼 이후 연구팀원 모집


- 9월 29일 이전 준비 모임. 팀 구성


- 10월 ~ 12월 자료 수집기간


- 1월 ~ 3월 100가지 이슈 선정


- 4월 ~ 5월 집필


- 6월 컨퍼런스


- 7~8월 출판